'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8 Page) :: 현역가왕3 투표하기
반응형

연천군 농민기본소득 지원금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연천군은 오는 3월 11일부터 4월 11일까지 '2024년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지원 사업 1차 신청·접수'를 받습니다.

연천군 농민기본소득 지원 대상

14일 군에 따르면 농민기본소득은 만 19세 이상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농민이 대상이며 생계를 책임지는 후계농업인 등의 경우 19세 미만에게도 지급됩니다.
대상은 해당 시군에서 연속 2년(또는 경기도 내 비연속 5년) 이상 거주하거나 해당 시군에서 연속 1년(또는 경기도 내 연속 3년) 이상 농산물(농작물 재배업, 축산업, 임업) 생산활동에 실제 종사해야 합니다.
공익 직접 지불금 등의 지급 제한을 받는 부정수급자와 농외소득 3,700만 원 이상인 자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청년 기본소득과 농촌 기본소득을 지급받는 자 등도 제외됩니다.

연천군 농민기본소득 신청방법

신청 접수 기한은 업무의 효율성 등을 고려해 접수 횟수를 종전 3차례에서 1차례 단축해 2차까지만 받으며 2023년에 지급받은 자도 새롭게 신청해야 합니다.
농민기본소득을 받으려는 농업인은 농민기본소득 통합지원 시스템으로 온라인 신청하거나 농민기본소득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읍·면 행정복지센터 산업팀에 제출하여 신청·접수해야 합니다.
농민기본소득은 연천군 지역화폐로 월 5만 원씩 지급된다. 사용 기한(지역화폐 소멸시효)은 지급일로부터 180일입니다.

https://farmbincome.gg.go.kr/login

 

반응형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2024년 경기지역 23개 시군 21만8800명의 농민에게 연간 60만원씩의 기본소득이 지급됩니다.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대상

경기도는 지난 1월18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도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기본계획과 지원사업 시행계획’을 공고했습니다. 23개 시군은 가평·광명·광주·군포·김포·남양주·동두천·시흥·안산·안성·양주·양평·여주·연천·오산·용인·의왕·이천·파주·평택·포천·하남·화성 등입니다.

지난해 21개 시군에서 2개 시군이 늘었다. 광명·군포·시흥 등 3개 시가 사업에 합류했지만, 의정부시는 재정 부담을 이유로 이탈했습니다. 농민기본소득은 도와 시군이 50%씩 사업비를 분담한다. 전체 지원 인원도 작년 21만2000명보다 6800명 증가했습니다.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신청

거주 기간의 경우 ‘해당 시군 연속 2년 또는 비연속 5년’에서 ‘해당 시군 연속 2년 또는 경기도 내 비연속 5년’으로 완화됐습니다. 영농 기간은 ‘해당 시군 연속 1년’에 더해 ‘경기도 내 연속 3년’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농업 외 종합소득 3700만원 미만의 소득 기준과 만 19세 이상(생계를 책임지는 경우 19세 미만도 가능) 연령 기준은 변동이 없습니다.

https://farmbincome.gg.go.kr/contents/page/introducepolicy1/view?contentsId=1012

 

경기도 농민농촌기본소득 통합지원시스템

농민농촌기본소득 소개, 사업지침서 및 정책정보, 신청 및 안내 제공.

farmbincome.gg.go.kr

 

 

반응형

장성군 소상공인 5대 지원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전남 장성군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현실 밀착형 소상공인 지원에 팔을 걷었습니다.

장성군 소상공인 5대 지원 대상 조회

1일 장성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상인공 지원사업으로 '점포 경영개선', '점포 임대료 지원', '대출이자 차액 보전', '신용 보증수수료 지원', '디지털 소상공인 1만 양성사업' 추진 등 5개 분야 사업을 추진 합니다.
먼저 '점포경영개선 지원'은 간판, 외벽 도색, 내부시설 등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총 사업비의 50%를 최대 500만원 한도로 지원하며 2021년 2월 1일 이전에 개업해 3년 이상 경영 중인 소상공인이 대상입니다. '점포 임대료 지원'은 대상자로 선정되면 1년간 최대 4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초기 창업자를 포함해 2021년 1월 31일 이후 점포를 임대한 소상공인이 대상입니다.

장성군 소상공인 5대 지원 한도

'대출이자 차액 보전'은 이자의 3%를 연간 200만원까지 최대 3년간 지원합니다.'신용 보증수수료 지원'은 보증기관 신용보증료를 3년 범위에서 최대 1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이자 차액 보전과 신용 보증수수료 지원은 신청에 앞서 전남신용보증재단 나주지점에 방문해 보증 가능 여부를 상담받아야 합니다. 지난해에 이어 추진하는 '디지털 소상공인 1만 양성사업'은 스마트오더,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를 지원합니다. 한도는 업체당 100만원입니다.

장성군 소상공인 5대 지원금 신청방법

지원사업 신청을 희망하는 장성지역 소상공인은 2월 29일까지 신청서 등 필요 서류를 갖춰 장성군청 일자리경제실(061-390-7352)로 제출하면 됩니다.
단 직전년도 부가가치세 매출 과세액이 1억5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 제외 업종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장성군 누리집 공지 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서울시 12세 이하 어린이 안경할인 쿠폰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서울시는 새 학기를 맞아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와 함께 살아가는 어린이들의 눈 건강을 위해 눈 검진(시력검사)과 최대 20%의 안경 구입 할인을 지원합니다.

서울시 어린이 안경 할인쿠폰 대상 조회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이 발표한 '서울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의 하나로 작년부터 시작한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을 올해도 서울 거주 12세 이하 어린이가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시행합니다.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은 어린이들의 눈 건강을 위해 안경 업체와 협력해 안경 할인쿠폰(시력검진 포함)을 제공합니다. 안경원에서 시력 검진을 받은 후 할인된 가격으로 안경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할인율은 20%입니다.
특히 올해는 3000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한 ㈔대한안경사협회 서울시안경사회의 동참으로 할인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매장이 전년 179개소 대비 8배 가까이 많아졌습니다. 서울시내 거의 대부분 안경점에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참여 매장은 총 1400개소로 △서울시안경사회 소속 1218개소 △으뜸50안경 89개소 △다비치안경 36개소 △안경매니져 37개소 △오렌즈 20개소입니다.

어린이 안경 할인쿠폰 신청방법

안경 할인쿠폰은 오는 15~19일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시 원하는 안경 업체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으며 대상자에게는 신청한 안경 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경 할인쿠폰이 휴대전화 문자를 통해 발급됩니다. 쿠폰 사용기한은 6개월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