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7 Page) :: 아이폰16E 사전예약
반응형

임실군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임실군이 미취업 청년의 취업 지원 및 취업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구직활동비 등을 지원하는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임실군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대상

지원 대상은 임실 거주 청년(18세~39세)의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미취업 청년으로 3월 12일까지 18명을 모집합니다.

임실군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신청방법

신청 방법은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또는 전북청년허브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선정된 대상자는 ‘전북청년 함께 도전 카드’를 발급받아 월 50만원씩 6개월간 총 300만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지원 기간 중 취업 또는 창업에 성공하여 3개월 이상 근속하거나 매출을 올리면 취·창업 성공금 50만원도 지원받게 됩니다.

https://www.jb2030.or.kr/

 

전북청년허브센터

전북청년허브센터 홈페이지입니다.

www.jb2030.or.kr

 

 

반응형

부산 북구 청년 공공일자리 디딤돌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부산 북구(구청장 오태원)는 오는 2월 26일부터 2월 28일까지 취업난과 실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청년들을 위한 북구형 청년 맞춤 공공일자리「디딤돌」 사업 참여자를 모집할 예정입니다.

부산 북구 공공일자리 대상

 이 사업은 불황으로 인해 취업난을 겪고 있는 북구 지역 청년들에게 직접 일자리 참여를 통한 직무 경험 기회 및 취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북구 청년들의 자립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디딤돌 사업’은 북구형 청년 맞춤 사업을 발굴 후 지역 청년 20여명을 선발하여 오는 4월부터 상·하반기 구분하여 운영될 예정이며, 특히 전공과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선발하여 청년들의 직무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부산 북구 공공일자리 신청방법

상반기 참여자를 2월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북구청 일자리경제과에서 직접 모집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북구청 일자리경제과(051-309-2071)로 문의하면 됩니다.

https://www.bsbukgu.go.kr/index.bsbukgu

 

부산북구청 대표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길을 찾고자, 길을 만들고자 바쁜 발걸음. 오늘도 애쓰고 있을 지역의 청년을 위한 단기 공공일자리 #디딤돌 올해도 진행합니다. #부산북구_청년단기공공일자리 "예비 일잘러 모두 오

www.bsbukgu.go.kr

 

반응형

연천군 농민기본소득 지원금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연천군은 오는 3월 11일부터 4월 11일까지 '2024년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지원 사업 1차 신청·접수'를 받습니다.

연천군 농민기본소득 지원 대상

14일 군에 따르면 농민기본소득은 만 19세 이상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농민이 대상이며 생계를 책임지는 후계농업인 등의 경우 19세 미만에게도 지급됩니다.
대상은 해당 시군에서 연속 2년(또는 경기도 내 비연속 5년) 이상 거주하거나 해당 시군에서 연속 1년(또는 경기도 내 연속 3년) 이상 농산물(농작물 재배업, 축산업, 임업) 생산활동에 실제 종사해야 합니다.
공익 직접 지불금 등의 지급 제한을 받는 부정수급자와 농외소득 3,700만 원 이상인 자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청년 기본소득과 농촌 기본소득을 지급받는 자 등도 제외됩니다.

연천군 농민기본소득 신청방법

신청 접수 기한은 업무의 효율성 등을 고려해 접수 횟수를 종전 3차례에서 1차례 단축해 2차까지만 받으며 2023년에 지급받은 자도 새롭게 신청해야 합니다.
농민기본소득을 받으려는 농업인은 농민기본소득 통합지원 시스템으로 온라인 신청하거나 농민기본소득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읍·면 행정복지센터 산업팀에 제출하여 신청·접수해야 합니다.
농민기본소득은 연천군 지역화폐로 월 5만 원씩 지급된다. 사용 기한(지역화폐 소멸시효)은 지급일로부터 180일입니다.

https://farmbincome.gg.go.kr/login

 

반응형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2024년 경기지역 23개 시군 21만8800명의 농민에게 연간 60만원씩의 기본소득이 지급됩니다.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대상

경기도는 지난 1월18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도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기본계획과 지원사업 시행계획’을 공고했습니다. 23개 시군은 가평·광명·광주·군포·김포·남양주·동두천·시흥·안산·안성·양주·양평·여주·연천·오산·용인·의왕·이천·파주·평택·포천·하남·화성 등입니다.

지난해 21개 시군에서 2개 시군이 늘었다. 광명·군포·시흥 등 3개 시가 사업에 합류했지만, 의정부시는 재정 부담을 이유로 이탈했습니다. 농민기본소득은 도와 시군이 50%씩 사업비를 분담한다. 전체 지원 인원도 작년 21만2000명보다 6800명 증가했습니다.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신청

거주 기간의 경우 ‘해당 시군 연속 2년 또는 비연속 5년’에서 ‘해당 시군 연속 2년 또는 경기도 내 비연속 5년’으로 완화됐습니다. 영농 기간은 ‘해당 시군 연속 1년’에 더해 ‘경기도 내 연속 3년’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농업 외 종합소득 3700만원 미만의 소득 기준과 만 19세 이상(생계를 책임지는 경우 19세 미만도 가능) 연령 기준은 변동이 없습니다.

https://farmbincome.gg.go.kr/contents/page/introducepolicy1/view?contentsId=1012

 

경기도 농민농촌기본소득 통합지원시스템

농민농촌기본소득 소개, 사업지침서 및 정책정보, 신청 및 안내 제공.

farmbincome.gg.g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