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DTD 선언문은 다양한 브라우저들에서 마크업에 대한 일관된 화면 표시가 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서형 정의 종류는 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HTML 4.0으로 제작할 때 문서형 선언, XHTML 1.0으로 제작할 때 문서형 선언, XHTML 1.1 문서형 선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DTD 선언문을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HL DTD 선언문
<!DOCTYPE ... dtd>는 굳이 외워서 진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에디터 플러스와 같은 웹 에디터에서 자동으로 설정하여 나오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3편까지 XHTML 문서의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하였습니다. 웹 표준 문서 제작에 필요한 기본 내용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블록요소(Block Element)
웹 표준 마크업시 필요한 태그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 유형과 성질입니다. 요소의 유형은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블록요소는 마크업시 줄 바꿈이 일어나느 성질을 나타납니다. 실습 화면에 확인하며 결과화면에 따라 각 요소에 대해서 한 줄씩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습 내에 표시되었던 블록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화면상 줄바꿈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실제 블록 요소의 모양을 빨간색으로 모양을 확인할 수 있는데, 블록 요소와 블록 요소 사이는 흰색 바탕이 기본 여백입니다.
인라인 요소
인라인 요소는 블록요소와 다르게 줄바꿈 성질은 따로 없습니다. 블록요소처럼 행이 바뀌지 않고 한 줄로 출력되게끔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라인 요소 안에는 텍스트와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인라인 요소는 블랙 요소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 인라인 요소와 텍스트는 블록 요소 안에 포함되어야 합니다.